부린이 2

종부세, 양도세, 과세표준 | 쉬운 용어 풀이

일단, 과세표준이라는 단어부터 알아보자. 과세표준? '과세표준'이라는 단어는 부동산에서만 쓰는 용어는 아니다. 세금에 관련된 용어다. 하지만, 부동산 관련 기사에 심심치 않게 등장한다. 익숙하지 않은 단어는 문맥을 이해하는데 방해가 된다. 일단 뜻풀이 무슨 뜻인지 알아먹기 힘든 빌어먹을 한자 풀이 부터 알아보자. 과세표준 : 課稅標準 과 : 부과하다 할 때 과. 세 : 세금 할 때 세. 표 : 표하다. 기록하다. 지표, 목표, 표방. 준 : 기준 할 때 준. 본보기로 삼다. 영어로는 standards-based assessment. 과세표준이란, 세금이 부과되는 기준이다. 세금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돈이 오고가는 모든 일에는 세금이 따라온다. 소득세 하나 안에서도 이자, 배당, 사업, 근로, 연금, 기..

부동산 가격 결정은 수요와 공급이 아니다

고등학생 때 경제 과목을 배우지 않았더라도 시장에서 가격이 형성되는 원리는 누구나 알 것이다. 수요와 공급. 공급이 수요보다 많으면 가격은 비싸지지 않는다. 반면에 공급보다 수요가 많으면, 물건이 희소해지기 때문에 가격이 오른다. 하지만, 부동산은 수요와 공급만으로는 가격을 설명할 수 없다. 수요와 공급보다는, '유동성'. 돈의 움직임을 봐야 한다. 외딴섬나라에 사람 A 딱 한 명이 살고 있다고 가정하자. 그 섬나라에는 집이 아직 한 채도 없다고 가정하자. 근데 A가 돈 1억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따라서 섬나라의 모든 돈이 A가 가진 1억 밖에 없다고 가정하자. 어느날 하늘에서 집 하나가 떨어졌다. 그 집은 2억이라고 한다. 그런데 섬나라에는 돌고 있는 돈이 1억 밖에 없다. 공급 = 집 1 채 ..